맨위로가기

담양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양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담양군 전 지역을 관할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균식이 당선되었고, 이후 김홍용, 김문용, 박영종, 국쾌남, 김동호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성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담양군·장성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양군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담양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담양군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담양군의회는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되어 8명의 지역구 의원과 1명의 비례대표를 선출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목포시·무안군·신안군
    목포시·무안군·신안군은 1973년 신설되어 1988년 분리되기 전까지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며 야당의 득표율도 높아 정치적 경쟁이 치열했던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의 공정성 문제를 야기하는 사례로 꼽힌다.
  • 전라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담양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담양군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남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담양군·장성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담양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성군 선거구와 통합, 담양군·장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2. 1. 담양군 선거구 설치 (1948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담양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2. 2. 장성군 선거구와 통합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장성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담양군·장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담양군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정균식조선민족청년단11,83929.90%
박영종무소속10,27225.94%
김문용무소속10,00925.28%
김동호대한독립촉성국민회7,46518.85%
합계39,585100%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조선민족청년단 정균식 후보가 29.9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박영종 후보는 25.94%, 무소속 김문용 후보는 25.28%,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동호 후보는 18.85%를 득표하였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담양군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홍용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민주국민당, 무소속 후보들이 출마하여 경쟁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홍용무소속8,98224.16%
김형렬대한독립촉성국민회8,87523.87%
국태일무소속5,53214.88%
고재욱민주국민당4,50712.12%
박영종무소속4,21111.32%
김동호대한독립촉성국민회4,03710.85%
정균식민주국민당1,0322.77%
남상기무소속00%


4. 3.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홍용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김문용 후보가 당선되었다.

4. 4.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박영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영종자유당19,27350.35%
김동호대한독립촉성국민회8,72522.79%
남상기농민회5,66714.80%
김문용자유당2,3446.12%
정기환대한독립촉성국민회1,2863.36%
박정용무소속9762.55%
고재연무소속00%
이상관자유당00%


4. 5.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국쾌남 후보가 59.2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일당 박영종 후보는 19.32%, 농민회 남상기 후보는 11.44%, 민주당 김동호 후보는 10.02%를 득표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국쾌남자유당25,68459.20
박영종통일당8,38519.32
남상기농민회4,96411.44
김동호민주당4,35110.02
합계43,384100


4. 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김동호민주당11,75228.00%당선
고재필무소속11,44227.26%
김성용무소속9,85123.47%
국순엽무소속6,43415.33%
조규태무소속2,4835.91%
합계4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